2025 부모급여, 이 조건이면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(신청방법·지급일 총정리)
2025 부모급여, 이 조건이면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(신청방법·지급일 총정리)
아이 키우는 가정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'부모급여'.
2025년에는 더 확대된 기준과 금액으로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.
그런데 아직도 "나는 해당 안 될 것 같은데…" 하고 놓치는 분들, 정말 많습니다.
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, 내가 받을 수 있는지 한눈에 확인 가능하고,
바로 신청까지 하실 수 있어요.
✅ 부모급여란?
부모급여는 정부가 2023년부터 시작한 영아부모 대상 현금지원제도입니다.
만 0~1세 자녀를 둔 부모에게 매월 현금 또는 바우처 형태로 지급돼요.
📌 쉽게 말하면:
어린이집을 보내지 않고 집에서 직접 양육 중인 부모에게
정부가 양육을 도와주기 위해 지급하는 급여입니다.
💰 2025년 부모급여 지급 금액 (확정 기준)
자녀 나이 가정 양육 시 (현금) 어린이집 이용 시 (바우처)
만 0세 | 월 100만 원 | 월 50만 원 + 보육료 바우처 |
만 1세 | 월 50만 원 | 월 50만 원 + 보육료 바우처 |
📌 주의: 2025년부터 만 0세는 전액 100만 원 현금,
만 1세는 기존 35 → 50만 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.
즉, 아이가 아직 만 1세가 되지 않았다면
부모급여 최대 1,2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는 얘기예요!
✅ 신청 조건 (2025년 기준)
부모급여는 조건이 비교적 간단해요.
하지만 아래 3가지는 꼭 확인해야 합니다.
- 자녀 연령이 만 0~1세
- 출생일 기준으로 생일이 지나기 전까지 해당
- 대한민국 국적 & 국내 거주
- 부모와 자녀 모두 주민등록상 '국내거주' 상태여야 함
- 직접 양육 중인지 여부
- 어린이집 등 시설 이용 시엔 전액 지급이 아닌 바우처 일부만 지원
👉 어린이집 보내지 않고 가정에서 돌보는 중이라면,
반드시 "가정양육"이라고 신청해야 전액 지급!
📝 부모급여 신청 방법
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
🔹 온라인 신청
- 복지로 홈페이지
- PC 또는 모바일에서 신청 가능
-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필요
🔹 오프라인 신청
-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
- 신분증 + 가족관계증명서 지참
📌 기존에 영아수당, 아동수당 신청한 가정은 자동 연계되는 경우도 있지만,
신규 출생아 또는 주소 변경 등 상황이 달라졌다면 꼭 재신청 필수!
📆 부모급여 지급일은?
- 매월 25일 전후
- 공휴일과 주말에 따라 24일 또는 23일에 당겨질 수 있어요.
예: 2025년 8월은 8월 25일(월) 전후로 지급 예정
💬 실수로 못 받는 대표 상황 3가지
- 주소지 이전했는데 주민센터에 변경 미신고
→ 신청 누락됩니다. 꼭 새 주소지에서 다시 신청하세요. - 어린이집 이용 중인데 ‘가정양육’으로 체크
→ 나중에 부정수급으로 환수될 수 있습니다. 조심하세요! - 이미 받는 줄 알고 신청 안 함
→ 부모급여는 별도 신청이 원칙이에요.
복지로 들어가서 반드시 확인해보세요!
📌 부모급여와 함께 받을 수 있는 혜택은?
지원제도 지원 내용
아동수당 | 만 8세 미만 월 10만 원 |
출산지원금 | 지자체별 상이 (예: 서울 일부 지역 100만 원 이상) |
영아수당 | 2022년생 대상자 한정 지급 중단 예정 |
🎁 추가 혜택도 많아요. 지자체 복지포털에서 꼭 확인해보세요!
“○○시 + 출산 혜택” 검색만 해도 숨은 지원금 나옵니다.
✨ 마무리 꿀팁
✔ 혹시 가정양육 중인데 부모급여 못 받고 계신가요?
✔ 아이가 만 1세 되기 전이라면 매달 100만 원, 놓치지 마세요!
✔ 복지로에 접속해서 '부모급여 신청 여부'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